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따라잡기

[4. 30.] 오늘의 미국 증시 뉴스-역성장

by 자본연구소장 2025. 5. 1.

[4. 30.] 오늘의 미국 증시 뉴스-역성장

 

 

 

 

 

 

2025430일 미국 증시

 

  미국 경제 3년 만에 역성장(-0.3%) 충격으로 다우 한때 4만선 붕괴, 장 마감엔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으로 반등해 혼조세. 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메타 실적 발표에 장 마감 후 주가 급등하며 내일 증시 기대감 상승.

 

 "아침은 쓰고, 저녁은 달콤했던 하루"

  뉴욕 증시는 아침부터 경제 성장률 쇼크에 휘청였어요. 다우존스는 장 초반 무려 710포인트(-1.75%) 폭락하며 40,000선을 뚝 떨어졌습니다. S&P500-2.01%, 나스닥은 -2.47%까지 추락했어요.

  그런데 주식시장은 역시 예측불가입니다. 장 마감 즈음에는 다우 +0.35%(40,669), S&P500 +0.15%(5,569), 나스닥은 -0.09%(17,446)로 거의 대부분의 낙폭을 회복했어요.

 

 "경제는 왜 역성장했을까?"

  미국 상무부는 20251분기 경제성장률이 -0.3%로 집계됐다고 발표했어요. 시장 예상치(-0.2%)보다도 더 안 좋은 수치였죠

특히 눈에 띄는 건 소비자 지출 증가율이 단 1.8%에 그쳤다는 점. 코로나 이후 꾸준히 4~5% 성장하던 것에 비하면 아쉽죠. 작년 말부터 이어진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소비심리를 얼어붙게 만든 것으로 보여요.

 

 "그래도 희망은 있다! 무역협상"

  다행히 오후에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어요. 중국 관영 CCTV 계열 소셜미디어가 "미국이 관세 문제 논의를 위해 중국과 적극 접촉 중"이라고 보도한 거죠! 이 소식이 S&P500순식간에 30포인트나 끌어올렸어요.

 

 "빅테크 실적, 불안한 시장의 등대가 되다"

  장 마감 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가 실적 발표의 포문을 열었어요. 마이크로소프트는 EPS $3.46으로 예상치($3.23)를 가뿐히 뛰어넘었고, 메타도 EPS $6.43으로 예상($5.24)보다 훨씬 좋은 성적표를 받아왔습니다.

이렇게 좋은 실적에 두 회사 주가는 장 외 거래에서 각각 6%, 4% 이상 급등했어요

 

"전문가들은 이렇게 말해요"

  JP모건은 "1분기 역성장은 일시적 현상"이라며, "이미 -1.5%까지 전망치를 낮췄던 만큼 감내할 수준"이라고 평가했어요. 제퍼리스(-0.2%)BNP파리바(-0.6%)도 비슷한 기대치를 제시했었죠.

  월스트리트저널은 "수입 급증과 관세 대비 재고 확보가 역성장의 주 원인"이라며, "소비지출 둔화는 2분기에도 주시해야 할 포인트"라고 지적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역성장이 계속될까요?

A: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일시적 현상으로 보고 있어요. 다만 소비 심리가 얼마나 빨리 회복되느냐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Q: 내일 발표되는 애플, 아마존 실적은 어떨까요?

A: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의 호실적으로 기대감이 높아졌어요. 특히 클라우드 사업 성장세와 AI 관련 투자 계획에 주목해보세요.

 

Q: 무역협상은 정말 진전이 있을까요?

A: 중국 측 보도만 있고 미국 정부의 공식 확인은 없어 신중하게 지켜봐야 합니다. 하지만 양국 모두 경제적 이유로 협상 테이블에 나올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2025년 현재 시장 상황을 고려한 투자 전략과 접근법

 

변동성 높은 시장을 위한 구체적 투자 전략

 

단기 대응 전략

- 저변동성 전략과 방어적 주식 투자 확대: 성장 둔화와 무역 정책 변화로 인한 변동성 대비

- 분할 매수(dollar-cost averaging): 시장이 추가 하락할 경우를 대비해 여유 자금 보유하며 점진적으로 투자

- 소규모 전술적 오버웨이트 포지션: 밸류에이션이 충분히 하락한 지금부터 조금씩 매수 시작

 

자산 배분 접근법

- 배당주 투자 강화: 3가지 방법으로 접근

1. 개별 배당주 직접 투자: 다양한 섹터에 분산 배분

2. 배당 중심 ETF 활용

 

다변화 전략

- 전통적 채권 외 대안 탐색: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 , 인프라, 단기채권을 통해 상관관계 위험 감소

- 글로벌 투자 확대: 라틴 아메리카 등 글로벌 공급망 변화 수혜 지역 고려

- AI 관련 장기 테마 유지: 구조적 자본 지출과 컴퓨팅 비용 하락으로 지속 가능성 높음

 

장기 관점 유지

- 단기 뉴스에 과민반응 자제: 경제 불확실성과 정치적 소음에도 장기 투자 유지

- 금리 인하 기대감 활용: GDP 위축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고려

- 복리 수익의 힘 활용: 골드만삭스 피터 오펜하이머는 "시장에 머무르며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복리수익이 더 중요하다" 강조

 

이러한 전략은 2025년 현재의 시장 상황(경제 수축, 무역 불확실성, 높은 밸류에이션 조정)을 고려하여 제시된 것으로,

개인의 위험 수용도와 투자 목표에 맞게 조정이 필요합니다.

 

이 글은 여러분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정리한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투자는 각자의 목표와 상황에 따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해요.
최종적인 투자 결정과 그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언제나 여러분의 현명한 투자를 응원합니다.

 

 

https://econique22.tistory.com/entry/SP500-%EB%A6%AC%EC%8A%A4%ED%81%AC-%EB%82%B4-%EB%8F%88%EC%9D%B4-%EC%A6%9D%EB%B0%9C%ED%95%9C%EB%8B%A4%EA%B3%A0-SP500-%ED%88%AC%EC%9E%90%EC%9E%90%EB%9D%BC%EB%A9%B4-%EC%95%8C%EC%95%84%EC%95%BC-%ED%95%A0-5%EA%B0%80%EC%A7%80

https://econique22.tistory.com/entry/SP-500-vs-%EB%AF%B8%EA%B5%AD-%EB%B0%B0%EB%8B%B9%EC%A3%BC-ETF-10%EB%85%84-%ED%9B%84-%EB%88%84%EA%B0%80-%EC%9D%B4%EA%B8%B8%EA%B9%8C

 

S&P 500 vs 미국 배당주 ETF, 10년 후 누가 이길까?

10년 뒤 더 많은 수익을 안겨줄 투자처는 어디일까요? 성장성과 안정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투자자라면, 이번 비교 분석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S&P 500의 장기 성장성과 배당주 ETF의 꾸준한 현금

econique22.tistory.com

 

 

S&P500 리스크 (내 돈이 증발한다고? S&P500 투자자라면 알아야 할 5가지)

S&P500은 미국 대표 500개 기업에 투자하는 안전한 상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시장 변동성, 기술주 쏠림, 환율 리스크, 정책 변화, 단일 시장 집중 등 잠재적

econique22.tistory.com